본문 바로가기

식물보호기사4

[공부일지] D-8 2019년 제1회 기출문제 공부일지 2022년 2월 25일 D-8 응 다시 반타작~~ 이쯤 되니까 틀린 문제들 중에서 계속 틀리는게 보이는데 이것만 안틀려도 60점은 되겠다 싶음.. 제1과목 식물병리학 10/20 = 50점 -> 통과 제2과목 농림해충학 11/20 = 55점 -> 통과 제3과목 재배학원론 8/20 = 40점 -> 통과 제4과목 농약학 6/20 = 30점 -> 과락 제5과목 잡초방제학 13/20 = 65점 -> 통과 평균 48/100 = 불합격 식물병리학 세균의 변이 기작이 아닌 것은? 1. 접합 2. 형질 전환 3. 형질 도입 4. 이핵 현상 >이핵현상 : 원생동물의 생식방법. 불완전균류의 변이기작이다 보리에 발생하는 줄기녹병의 중간기주는? 1. 잣나무 2. 향나무 3. 배나무 4. 매자나무 >보리 줄기녹병의 중간.. 2022. 2. 25.
식물병리학 003 : 식물병의 발생 1. 식물병의 병환 병환 : 어떤 병이 되풀이해서 발생하는 과정. 월동 -> 전반(전염) -> 침입 -> 감염 -> 정착 -> 증식 -> 병징 -> 월동 병발생의 3요소 기주식물 : 소인. 감수성이 있는 기주식물 병원체 : 주인. 병 발생에 가장 중요한 요인 (병원성 있는 병원체) 환경조건 : 유인. 병 발생에 유리한 환경 요인 (온도, 습도, 광, 토양 조건) 전염원 종류 : 병든 식물의 잔재 / 종자 및 영양체 / 토양, 잡초 / 곤충 주요 병원체의 월동처 벼 흰잎 마름병 (X. xampestris pv. orzae) : 겨풀, 뚝새풀, 밀 벼 누른오갈병 (Sclerophthora macrospora) : 개밀, 뚝새풀 CMV : 쇠별꽃 등 포장 주위 잡초 병원체의 침입 1) 직접침입 각피를 통한 침.. 2022. 1. 19.
식물병리학 002 : 식물병의 원인 1. 병원의 종류 병원 : 식물에 병이 발생하는 원인 * 병원이 2가지 이상의 복합적일 경우 주된 원인을 주인, 상처나 기상조건 등의 2차적인 원인을 유인이라고 함 생물성 병원 진균 (사상균=곰팡이균) 세균 (bacteria) 파이토플라스마 (마이코플라스마) 바이러스 (virus) 바이로이드 (viroid) 자낭균류 불완전균류 (Fungi) 조균류 (편모균류) 담자균류 유성생식 (자낭을 만듦) 불완전한 생식방법 포자(종자)가 담자기에서 만들어짐. 유성생식 원핵생물(단세포) 이분법 증식 원핵생물(세포벽없음) 식물병원체 중 가장 작음. 전자현미경으로도 관찰이 쉽지 않다 균사에 격막있음 균사에 격막있음 균사에 격막 없음 균사에 격막 있음 간균/streptomyces RNA,DNA,리보솜 인공배지배양 불가능 핵.. 2022. 1. 18.
2022 식물보호기사 시험 정보 식물보호기사 필기/실기 시험 과목 (2020년부터 출제 기준 변경) 필기 1. 식물병리학 2. 농림해충학 3. 재배학원론 4. 농약학 5. 잡초방제학 객관식 4지택일, 과목당 30분 20문항 100점만점 중 과목당 40점 이상, 평균 60점 이상 합격 실기 식물보호실무 작업형 2시간 30분 100점만점 중 60점 이상 응시자격 및 2022년 식물보호기사 시험일정 큐넷 홈페이지 확인 http://www.q-net.or.kr/crf005.do?id=crf00505&gSite=Q&gId= http://www.q-net.or.kr/crf005.do?id=crf00505&gSite=Q&gId= www.q-net.or.kr 2022. 1.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