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식물보호기사

식물병리학 002 : 식물병의 원인

by 초록: 2022. 1. 18.

 

1. 병원의 종류

병원 : 식물에 병이 발생하는 원인

* 병원이 2가지 이상의 복합적일 경우 주된 원인을 주인, 상처나 기상조건 등의 2차적인 원인을 유인이라고 함

 

생물성 병원
진균 (사상균=곰팡이균) 세균
(bacteria)
파이토플라스마
(마이코플라스마)
바이러스
(virus)
바이로이드
(viroid)
자낭균류 불완전균류
(Fungi)
조균류
(편모균류)
담자균류
유성생식
(자낭을 만듦)
불완전한 생식방법   포자(종자)가 담자기에서 만들어짐.
유성생식
원핵생물(단세포)
이분법 증식
원핵생물(세포벽없음)   식물병원체 중 가장 작음.
전자현미경으로도 관찰이 쉽지 않다
균사에 격막있음 균사에 격막있음 균사에 격막 없음 균사에 격막 있음 간균/streptomyces RNA,DNA,리보솜
인공배지배양 불가능
핵산(RNA), 단백질(비세포성 병원체)
인공배지 배양 불가능(순수배양X)
핵산만으로 구성
인공배지 배양 불가능
균핵을 만듦     버섯류   테트라싸이클린계에 감수성이있어 치료가능    
자낭포자는 월동 후 1차 전염원/분생포자(무성포자)는 다음 월동기까지 2차 전염원 역할 무성포자만을 형성함 유주자를 가지고있어 헤엄쳐서 이동  

식물의 체관부에 존재함/
병징:총생,빗자루모양
전신병징
모자이크, 황화
 
        *그람양성균
Clavibacter(감자둘레썩음병,토마토궤양병)
Streptomyces(감자더뎅이병)
과꽃 누른 오갈병, 대추나무 빗자루병, 오동나무 빗자루병, 뽕나무 오갈병, 벼 황위병 종자,토양전염 바이러스 : 오이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CGMMV), 콩모자이크바이러스(SMV) 주요 병
감자 걀쭉병 (길죽병)
흰가루병, 흑성병, 맥류붉은곰팡이병, 깨씨무늬병, 복숭아잎오갈병, 벚나무빗자루병, 균핵병, 고구마검은무늬병, 벼키다리병, 콩미이라병, 소나무잎 떨림병, 탄저병 Alternaria, Botrytis, Cladosporium
/
배나무검은무늬병, 잿빛곰팡이병, 토마토잎곰팡이병
*난균류 : Phytophthora(역병), Pythium(모잘록병), Sclerospora(노균병)
대표적 토양전염병
*접합균류 : Rhizopus(고구마 무름병) 
맥류 녹병균류(Puccinia)
붉은별무늬병(Gymnosporangium)
수목,과수뿌리썩음병(Armillaria
깜부기병(맥류 겉깜부기병, 속깜부기병, 비린깜부기병)
과수 자주날개무늬병(Helicobasidium mompa Tanaka)
고약병/떡병/벼잎짚무늬마름병/모잘록병/자작나무혹병/흰비단병/사탕수수마름병 등
*대부분그람음성균
Pseudomonas(가지과 작물 풋마름병)
Xanthomonas(벼흰잎마름병, 감귤궤양병)
Agrobacterium(과수근두암종병.뿌리혹병)
Erwinia(채소무름병,화상병,시듦병)

*주요 매개충
대추나무빗자루병(마름무늬매미충. 옥시테트라사이클린수화제로 4~5,7~8월에 수간주사)
오동나무빗자루병(장님노린재)
뽕나무오갈병(마름무늬매미충)
*주요 매개충
벼줄무늬잎마름병(애멸구)
벼오갈병(끝동매미충,번개매미충)
감자잎말림병(복숭아혹진딧물)
각종모자이크병(진딧물,응애)
*상록광엽수
남해안,제주도의 상록광엽수인 동백나무,차나무,쥐똥나무의 잎에 발생.
-> 수세를 강하게하고 통풍이 잘되게함

+ 선충 

3배염성의 좌우대칭 동물(원체강류)

큐티클로 둘러싸여있음(각피)

0.5~1.5mm의 주머니 모양

뿌리조직에 집어넣어 양분을 갈취하는 구침을 가진다

순환기관과 호흡기관이 없음

- 선충에 의한 피해증상 : 충영(혹), 병변의 형성과 괴사, 생장점의 생육 저해, 다른 병원체 매개

- 감귤 뿌리 썩음병, 국화잎 마름선충, 콩씨스트선충병, 밀씨알선충병, 벼이삭선충병, 딸기뿌리썩음선충병, 뿌리혹선충병, 인삼감자썩이선충병

 

+조류

-괴불 : 벼. 한랭지의 수온이 18~25도에서 발생. 볍씨 파종 후 논물에서 공기방울이 보이고 못자리의 표토가 떠올라 뿌리 활착이 나빠짐 / 조류 중 규조류(돌말무리) -> 파종 후 석회유황합제 살포로 방제

-해캄의 해 : 벼. 일광을 차단해 광합성을 저해함, 수온의 상승을 방해하여 벼의 생육 저하 -> 황산구리를 논에 살포하여 방제

 

+기생식물

* 겨우살이 : 참나무류. 겨우살이의 열매를 먹은 새의 배설물로 전파

* 메꽃과 기생식물(새삼, 실새삼, 갯실새삼): 콩. 덩굴을 기주식물체에 감아 흡반을 형성해 양분 갈취

* 더부살이과 기생식물(담배대더부살이, 오리나무더부살이, 산더부살이) : 담배대 더부살이는 밭벼 등 화본과 식물에 기생

 

 

주요 식물 병원체
작물명 진균 세균 바이러스
잎짚무늬마름병
깨씨무늬병(자낭균)
모썩음병, 키다리병
모잘록병, 도열병
흰빛잎마름병(도관침해) 줄무늬잎마름병(애멸구)
오갈병
검은줄무늬병
보리 줄무늬병, 겉깜부기병
보리 속깜부기병
   
옥수수 깜부기병    
붉은녹병    
복숭아 잎오갈병 세균성구멍병  
수박 덩굴쪼낌병    
오이 덩굴마름병    
미이라병    
감자 역병, 겹둥근무늬병 둘레썩음병(물관병), 더뎅이병 잎말림병(복숭아혹진딧물)
고구마 검은무늬병 무름병(유조직병)  
감귤 그을음병 궤양병  
무, 배추 흰녹가루병 검은빛썩음병, 세균성검은무늬병  
배추   연부병(무름병)  
사과 탄저병    
배나무 적성병(붉은별무늬병)    
과수 뿌리썩음병    
담배   불마름병, 들불병 모자이크병(마름무늬매미충)
가지과작물   풋마름병(물관병)  
~작물 노균병
흰가루병(자낭균)
뿌리혹병, 유조직병
물관병, 증생병
~모자이크병

* 식물병의 대다수는 진균. 바이러스병과 세균성병 위주로 암기

*바이러스성 오갈병과 진균성 오갈병 구분하기

 

 

주요 병원체와 학명

1) 균핵병 : Sclerotinia

2) 역병 : Phytophthora

3) 토마토(가지과) 시듦병, 박과 덩굴쪼김병 : Fusarium

4) 사과나무줄기 썩음병 : Botryosphaeria ribis

5) 과수탄저병 : Glomerella cingulata

6) 고추, 수박, 목화 탄저병 : Colletotrichum acutatum

 

 

비생물성 병원

환경적요인. 전염되지 않고 병징만 나타남

- 기상요인 : 동해, 냉해, 상해, 고온장해(일소병), 습해, 건조해 등

- 대기오염 : 황산화물, 비소화합물, 오존, 에틸렌 등

- 약해 : 농약의 부적절한 혼용이나 사용과다

- 영양장해 : 칼슘(석회)결핍(토마토배꼽썩음병)/ 붕소결핍(사과,포도의 축과병)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