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식물병의 병환
병환 : 어떤 병이 되풀이해서 발생하는 과정.
월동 -> 전반(전염) -> 침입 -> 감염 -> 정착 -> 증식 -> 병징 -> 월동
병발생의 3요소
기주식물 : 소인. 감수성이 있는 기주식물
병원체 : 주인. 병 발생에 가장 중요한 요인 (병원성 있는 병원체)
환경조건 : 유인. 병 발생에 유리한 환경 요인 (온도, 습도, 광, 토양 조건)
전염원
종류 : 병든 식물의 잔재 / 종자 및 영양체 / 토양, 잡초 / 곤충
- 주요 병원체의 월동처
벼 흰잎 마름병 (X. xampestris pv. orzae) : 겨풀, 뚝새풀, 밀
벼 누른오갈병 (Sclerophthora macrospora) : 개밀, 뚝새풀
CMV : 쇠별꽃 등 포장 주위 잡초
병원체의 침입
1) 직접침입
각피를 통한 침입 : 탄저병, 벼 도열병, 녹병 (발아관을 만든 후 부착기를 형성하고 표면에 부착해서 침입함)
*세균과 바이러스는 직접 침입이 불가능
2) 상처를 통한 침입
모든 세균, 곰팡이균의 대다수, 모든 바이러스, 바이로이드
사과 부란병 (Valsa mali), 채소류 무름병(Erwinia carotovora), 뽕나무 눈마름병(Gibberella latritium)
3) 자연개구
수공 : (잎의 끝이나 가장자리. 항상 열려있음) 흰가루병, 녹병균, 노균병, 벼 흰잎마름병, 양배추 검은빛썩음병
피목 : (과실,줄기,괴경 등. 공기가 통할 수 있음) 감자 더뎅이병(Streptomyces scabis), 과수의 잿빛무늬병, 뽕나무줄기마름병(Diaporthe nomurai)
주두 : (암술머리) 보리 겉깜부기병
밀선 : (꿀샘) 사과,배 불마름병 (화상병, Erwinia amylovora)
4) 기주교대(이종기생)
2종류 이상의 식물에서 생활사를 완성한 것
- 배나무 붉은별무늬병
Gymnosporangium asiaticum이 병원균.
겨울철을 향나무에서 월동, 여름철에는 배나무에서 기생
- 녹병균
Puccinia 가 병원균
중간기주 : 매자나무 / 여름(하포자)및 겨울포자(동포자) : 맥류
- 소나무 혹병
cronartium quercuum이 병원균
중간기주 : 하포자,동포자(상수리나무, 졸참나무)
녹포자 : 소나무
- 잣나무 털녹병
중간기주 : 송이풀, 까치밥나무
병원체의 전반 (전염)
1) 풍매전염 : 진균의 가장 중요한 전반방법
2) 물에 의한 전반 : 유주자를 가지고있는 진균류가 물속을 스스로 헤엄쳐 이동(역병균)/ 그외의 진균류와 세균은 빗물의 흐름을 통해 이동
3) 충매전염
흡즙성 곤충(진딧물, 매미충류) : 바이러스병
경란전염 : 곤충의 알을 통한 전반. 끝동매미충,번개매미충(벼오갈병)/ 애멸구(벼 줄무늬잎마름병)
4) 종자전염
벼 키다리병, 깜부기병, 콩 바이러스병
5) 토양전염
역병, 박과류 덩굴쪼김병, 가지과 풋마름병
병원체의 영양섭취
절대기생체 (순활물기생체) |
비절대기생체 (임의기생체) | |
임의부생체(조건기생체) | 임의기생체(조건기생체) | |
살아있는 식물체에서만 영양 섭취 | 살아있는 식물체에서 영양섭취 조건에 따라 죽은생물체에서도 영양섭취 |
죽은생물체에서 영양섭취 조건에 따라 살아있는 식물체에서도 영양 섭취 |
인공배양 불가능 | 인공배양 가능 | 인공배양 쉬움 |
흰가루병, 녹병, 노균병, 바이러스, 바이로이드, 파이토플라스마, 배추무사마귀병 | 벼 도열병균, 고추 탄저병균, 대부분의 진균(곰팡이균), 세균 | 고구마 무름병, 채소 모잘록병, 감귤 푸른곰팡이병 |
2. 발병환경
병원체의 월동
1) 다년생 식물에서 기생하는 진균 : 감염 조직에서 균사, 포자로 월동
2) 1년생 식물 감염 진균
병든 식물의 잔재물 : 균사로 월동
잔재물이나 토양 : 휴면포자, 균핵으로 월동
종자, 번식기관 : 균사, 포자, 균핵으로 월동
환경 조건과 식물병의 발병
환경조건 | 많이 발생하는 병 | |
공중습도 | 과습 | 대부분의 병 |
건조 | 흰가루병 | |
온도 | 저온 | 벼 도열병, 균핵병 |
저온다습 | 감자역병(phytophthora infestans) | |
일조 | 부족 | 광합성 저해 (모든 병) |
바람 | 강한 바람( 식물 상처) | 벼 흰잎마름병, 복숭아 세균성 구멍병, 감귤 궤양병 |
양분 | 부족 | 노후답(벼 깨씨무늬병) |
토양 | 과습 | 감자역병, 배추무사마귀병(산성토양) |
건조 | 오이 덩굴쪼김병 | |
산성 | 배추무 사마귀병 | |
알칼리성 | 감자 더뎅이병 |
3. 병원성과 저항성
병원균의 생산 물질
1) 다당류 : 기주식물세포에 흡착, 수침상 병반을 형성하고 도관의 폐쇄로 위조 유발
2) 세포벽 분해효소 : cutinase, pectinase, cellulase
3) 독소 : 병원균이 생산하는 독소는 식물 아미노산 대사나 당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를 저해하여 식물이 황화됨(chlorosis)
-기주 특이적 독소 : 기주식물에만 작용
victorin - 귀리마름병균이 분비
T-toxin - 옥수수 깨씨무늬병균이 분비
AK-toxkin - 배나무 검은무늬병균이 분비
-비특이적 독소 : 기주식물과 다른종의 식물에도 작용
fusaric acid : 토마토 시듦병균인 fusarium이 생산
tabtoxin : 담배들불병균인 Pseudomonas syringae pv.tabaci이 생산
gibberelline : 벼 키다리병균인 Gibberella가 생산하는 독소
coronatine : 줄무늬세균병균인 P. syringae Pv.tomato가 생산. 감자유조직세포를 비대시킴
- 기타 미생물 독소
tenuazoic acid/tentoxin : Alternaria alternata가 생산. tentoxin을 기주식물 유묘에 처리하면 황화를 일으킴
citrinin : Penicillium citrinum이 생산
patulin : Aspergillus clavatus이 생산
zearalenone : Fusarium graminearum이 생산
- 인축공통 독소 (mycotoxin) : 진균이 생산하는 독소. 보리 붉은 곰팡이병균, 귀리 맥각병균인 Aspergillus flavus가 생산
4) 식물 호르몬
식물에 혹을 형성하는 병원균은 식물호르몬을 생성해서 감염부위의 세포분열과 신장을 촉진한다
옥수수 깜부기병 : Ustilago maydis
배추무사마귀병 : Plasmodiophora brassicae
사과 붉은별무늬병 : Gymnosporangium yamadae
근두암종병(큰 뿌리혹) : Agrobacterium tumefaciens
뿌리혹병(작은 뿌리혹) : Meloidogyne sp(선충)
감자 역병 : Phytophthora infestans
벼 키다리병 : Gibberella fujikuroi가 식물에 지베렐린 생성
5) 항생물질 (antibiotic)
미생물이 생성하는 화학물질. 다른 미생물이나 해충을 억제하여 잡초의 발육이나 대사작용을 막는다
6) bacteriocin
세균이 생성하는 천연 항균물질
병저항성
1) Race : 병원성분화형. 병원균중에서 기주의 품종에 따라 저항성이나 감수성이 다른것
판별품종 : race를 구분하는데 사용하는 기주 품종. 기주식물중에서 저항성 유전자가 다르고 형질이 고정된 여러개의 품종을 사용한다.
병원균을 판별품종에 접종하여 나타나는 병징에 따라 감수성, 저항성으로 판정
2)저항성의 종류
-수직저항성 (진정저항성=특이적저항성)
기주 품종간에 감수성이 다른 경우의저항성
기주의 품종이 병원균의 race에 따라 저항성 정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남. 수직저항성을 가진 품종은 race의 변이로 감수성으로 되기 쉽다.=병원균의 새로운 race가 생기면 기존저항성은 무너짐(이병화현상)
병원균의 침이에 대해 과민성반응이 나타난다
소수의 주동 유전자에 의해 발현
재배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수평저항성 (포장저항성=비특이적 저항성)
기주의 품종이 병원균의 race에 따라 저항성 정도의 차이가 크지 않은 저항성
3) 병저항성 요소
식물체 성분의 종류 및 함량
pH
형태학적인 성질
다수의 저항성관련 유전자(polygene)
4) 병저항성 기구
-정적 저항성(수동적저항성) : 병원체가 접촉하기 전부터 식물체가 갖고있는 저항성.
왁스, 큐티클, 표피세포의 세포벽 구조와 두께, 기공, 수공, 피목 모양 (큐틴층의 지방산은 -전하로 -전하인 포자의 흡착 방해/왁스와 털은 병원균의 포자발아장소 형성을 막는다).
식물 조직에 존재하는 항균물질(polyphenol류)
병원균이 분비하는 세포벽분해효소의 활성 억제
-동적 저항성(능동적저항성) : 식물체가 병원체의 침입에 대하여 방어하려는 반응저항성
papilla : 작은 유두모양의 돌기. 병원체가 침투한 부위의 세포벽을 더욱 두껍고 견고하게 함
목화 : 낙엽병
이층형성 : 천공병
과민반응(감반응) : 원형질 형태가 변화하여 스스로 세포 사멸. 세포막 투과성상실, 호흡증가, 페놀화합물의 축적, 산화, 파이토알렉신 생산
페놀성 성분(항균물질) 생산 : 훌라본, 클로로제산, 카페인산, 타닌산
파이토알렉신(phytoalexin) : 병원체의 발육을 저지하는 물질. 병원균이 생산하는 엘리시터가 생합성을 유도한다.
5)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성
- 바이러스의 국재화 : 국부감염만 일어나는 식물은 접종한 부분만 감염되고 병징이 없는 부분에는 증식되지 않는다
- 바이러스의 상호작용에 의한 저항현상 : 동시에 두종류 이상의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한쪽의 바이러스가 다른 쪽의 바이러스 감염,증식을 억제한다
교차방어(cross protection) : CMV의 보통계를 담배에 접종해 병징이 나타난 잎에 CMV의 괴사계통을 접종하면 괴사병반이 일어나지 않음.
획득 저항성(acquired resistance) : 담배 네크로시스 바이러스(TNV)를 담배의 잎에 접종시켜 괴사병반을 형성시킨 후 다른 잎에 다시 TNV를 접종하면 병반 수와 크기가 줄어든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후에 다시 바이러스를 접종시키면 저항성이 유도됨.
'자격증 > 식물보호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부일지] D-24 2015년 제2회 기출문제 (0) | 2022.02.09 |
---|---|
[공부일지] D-26 2015년 제1회 기출문제 (0) | 2022.02.07 |
식물병리학 002 : 식물병의 원인 (0) | 2022.01.18 |
2022 식물보호기사 시험 정보 (0) | 2022.01.17 |
식물병리학 001 : 식물병리 일반 (0) | 2022.0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