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식물보호기사

[공부일지] D-8 2019년 제1회 기출문제

by 초록: 2022. 2. 25.
공부일지

2022년 2월 25일

 

 

 

D-8

 

 


 

응 다시 반타작~~

이쯤 되니까 틀린 문제들 중에서 계속 틀리는게 보이는데 이것만 안틀려도 60점은 되겠다 싶음..

 

 

 

 


제1과목

식물병리학

10/20 = 50점 -> 통과

 

제2과목

농림해충학

11/20 = 55점 -> 통과

 

제3과목

재배학원론

8/20 = 40점 -> 통과

 

제4과목

농약학

6/20 = 30점 -> 과락

 

제5과목

잡초방제학

13/20 = 65점 -> 통과

 

평균

48/100 = 불합격

 

 

 


 

식물병리학

세균의 변이 기작이 아닌 것은?

1. 접합

2. 형질 전환

3. 형질 도입

4. 이핵 현상

>이핵현상 : 원생동물의 생식방법. 불완전균류의 변이기작이다

 

 

보리에 발생하는 줄기녹병의 중간기주는?

1. 잣나무

2. 향나무

3. 배나무

4. 매자나무

>보리 줄기녹병의 중간기주는 매자나무이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우리나라에서 매자나무가 중간기주역할을 한다는 보고는 아직 없음.

-매자나무 – 맥류 줄기녹병

 

 

대추나무 빗자루병 방제를 위하여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수화제로 수간주사를 하려고 할 때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 적기는 4월초이다.

2. 수확 30일 전까지 사용한다.

3. 흉고직경이 10cm인 경우 1회에 1L를 주입한다.

4. 10L에 약제 200g을 정량한 후 잘 녹여 사용한다.

>물10L에 약제50g을 정량한 후 잘 녹여 사용한다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사용적기 : 수액 상승이 왕성한 4-5월

>안전사용기준 : 수확30일 전까지 사용

>흉고직경 15cm미만인 경우, 물 1L에 약제 5g(5g/1L)을 정량한다

>물 10L에 약제 50g 정량

 

 

식물병원균에 대한 길항균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Rhizoctonia solani

2. Steptomyces scabies

3. Penicillium expansum

4. Trichoderma harzianum

>병원균의 길항균 종류

-토양전염병 방제 : trichoderma harzianum

-고구마의 fusarium에 의한 시듦병 방제 : 비병원성 fusarium

-토양병원균 방제 : bacillus subtilis

-과수근두암종병 방제 : agrobacterium radiobacter

-담배흰비단병 방제 : trichoderma lignosum

 

 

배나무 검은별무늬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잎에서 처음에 황백색의 병무늬가 나타난다.

2. 배나무 인근에 향나무가 많은 경우 발병하기 쉽다.

3. 배나무의 잎, 잎자루, 열매, 열매자루, 햇가지 등에 발 한다.

4. 낙엽을 모아 태우거나 땅 속에 묻어 발병을 예방할 수있다.

>2번은 붉은별무늬병에 해당

>배나무 검은별무늬병의 기주 : 배나무 / 배나무 붉은별무늬병의 기주 : 향나무

 

 

바이로이드에 의한 식물병의 주요 병징은?

1. 위축

2. 부패

3. 점무늬

4. 줄무늬

>바이로이드에 의한 식물병의 주요 병징은 위축이다 -> 감자 걀쭉병(길쭉병)

>바이로이드는 바이러스와 비슷한 전염특성이 있다. 바이러스병에 감염 시 식물 성장이 감소되어 위축된다

 

 

그램음성세균에 해당하는 것은?

1. 토마토 궤양병균

2. 감자 더뎅이병균

3. 벼 흰잎마름병균

4. 감자 둘레썩음병균

>그람양성균 (이 균들을 제외하고 대부분 그람음성균이다)

-clavibacter : 감자둘레썩음병, 토마토궤양병

-streptomyces : 감자더뎅이병(알칼리성토양에서 많이발생)

 

 

기주식물의 면역 또는 저항성 개선을 위해 약독 바이러스를 미리 감염시켜 식물체를 강독 바이러스의 감염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은?

1. 교차보호

2. 식물방어

3. 유도저항성

4. 저항성 품종

>교차보호 : 기주식물의 면역 또는 저항성 개선을 위해 약독바이러스를 미리 감염시켜 식물체를 강독바이러스의 감염으로부터 보호하는 것

 

 

초승달 모양의 대형 분생포자와 원 모양의 소형 분생포자를 형성하는 병원균은?

1. 벼 도열병균

2. 벼 오갈병균

3. 벼 키다리병균

4. 벼 흰잎마름병균

>벼 키다리병균은 초승달모양의 대형 분생포자와 원 모양의 소형 분생포자를 형성한다

 

 

벼 도열병균이 분비하는 독소는?

1. 빅토린(Victorin)

2. 피리큘라린(Piricularin)

3. 후사릭 산(Fusaric acid)

4. 라이코마라스민(Lycomarasmine)

>벼도열병균(piricularia)이 분비하는 독소는 피리큘라린(piricularin)이다

 

 

농림해충학

딱정벌레목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종이 다양하다.

2. 불완전변태를 한다.

3. 앞날개가 두껍고 날개맥이 없다.

4. 대부분 외골격이 발달하여 단단하다.

>딱정벌레목은 완전변태를 하는 내시류 곤충이다

 

 

곤충의 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바이러스가 아닌 것은?

1. 과립 바이러스

2. 베고모 바이러스

3. 핵다각체 바이러스

4. 세포질다각 바이러스

>베고모 바이러스 : 고추,토마토에 해를 주는 바이러스. 온실가루이에 의해 전반된다

 

 

성충과 유충이 모두 잎을 가해하는 해충은?

1. 박쥐나방

2. 솔잎혹파리

3. 미국흰불나방

4. 오리나무잎벌레

>오리나무잎벌레는 성충과 유충이 모두 잎을 가해하는 식엽성 곤충.

>박쥐나방 : 줄기가해

>미국흰불나방, 솔잎혹파리 : 유충이 주로 잎을 가해

 

 

식도하신경절에 의해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의 지배를 받지 않는 기관은?

1. 큰턱

2. 작은턱

3. 더듬이

4. 아랫입술

>더듬이는 식도하신경절에 의해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의 지배를 받지 않으며 윗입술을 제외한 잎의 신경을 담당한다. 큰턱,작은턱,아랫입술을 나타내는 세 개의 융합된 신경절로 구성. 곤충의 운동을 촉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외국으로부터 유입되어 우리나라에 정착한 해충이 아닌 것은?

1. 벼밤나방

2. 벼물바구미

3. 온실가루이

4. 꽃노랑총채벌레

>벼밤나방 : 외래해충이 아님. 단위생식을 하며 유충은 뿌리를 가해하고 성충은 주로 잎을 가해한다. 월동 충태는 성충.

>벼물바구미, 온실가루이, 꽃노랑총채벌레는 외국에서 한국으로 침입한 외래해충이다

 

 

해충의 밀도와 농작물 피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제적 피해허용수준은 어느 경우에나 일반평형밀도보다 높다.

2. 경제적 피해수준은 경제적 피해허용수준보다 높게 관리해야 한다.

3. 일반적인 환경 조건에서 형성된 해충의 평균밀도를 일반평형밀도라고 한다.

4. 경제적 손실이 나타나는 해충의 최저밀도를 경제적 피해수준이라고 한다.

>경제적 피해수준은 농작물의 가격이 높아지면 낮아지고 이 경우 경제적 피해 허용수준은 경제적 피해수준보다 낮아져야한다. 따라서 경제적 피해허용수준은 어느경우에서나 일반평형 밀도보다 높은 것은 아니다.

>경제적 피해수준 : 경제적 피해가 나타나는 최저밀도. 해충에 의한 피해액과 방제비가 같은 수준의 밀도.

>경제적 피해 허용수준 : 경제적 피해수준에 도달하는 것을 억제하기위해 직접 방제수단을 써야하는 밀도수준. 경제적 가해수준보다 낮으며 방제수단을 쓸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있어야함

>일반평형밀도 : 일반적인 환경조건하에서의 평균밀도

 

 

단위생식이 가능한 것은?

1. 밤나무혹벌

2. 배추흰나비

3. 송충알좀벌

4. 잣나무넓적잎벌

>밤나무혹벌은 단위생식이 가능하다

>단위생식이 가능한 종 : 총채벌레, 밤나무혹벌(밤나무순혹벌), 민다듬이벌레, 진딧물류(여름형), 수벌, 벼물바구미

 

 

노린재목의 형태적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더듬이는 4~5개 마디로 구성된다.

2. 뚫어 빠는 입이 있으며 미모는 없다.

3. 겹눈은 대부분 잘 발달하고 홑눈은 없거나 2~3개이다.

4. 다리의 발마디는 1~5개 구성되지만 대체로 5개 마디이다.

>다리는 서식지에 따라 다양하며 다리의 발마디는 1-3개로 구성되어있다. 발톱은 1개 또는 1쌍이다

 

 

카이로몬에 의한 곤충의 행태로 옳은 것은?

1. 개미 군집에서 계급을 분화하여 생활

2. 배추흰나방가 유채과 식물을 찾아 섭식

3. 노린재가 분비하는 고약한 냄새물질에 대한 포식자 회피

4. 수컷 나방이 멀리 떨어져 있는 암컷 나방을 찾아가는 행동

>배추흰나비가 유채과 식물을 찾아 섭식할 수 있는 것은 카이로몬에 해당한다. 이것은 유채과(배추과)식물에서 분비하는 시나핀 물질을 배추흰나비가 인지하였기 때문으로, 카이로몬은 신호물질을 분비한 개체는 해가되고, 이를 인지한 포식자에게는 도움이 되는 경우를 말한다.

>카이로몬 : 어떤 생물이 생성한 물질이 다른 종류의 생물에 접촉했을 때, 물질을 생성한 생물보다 이에 접촉한 생물에 유익한 효과를 미치는 물질. (식물은 곤충이 날아옴으로써 자신의 화분매개로 유익 효과를 본다)

>알로몬 : 어떤 생물이 생성한 물질이 다른종류의 생물에 접촉했을 때 접촉한 생물에 생리적으로나 행동적으로 반응을 일으켜 물질을 생성한 생물에 유익한 효과를 주는 경우

 

 

재배학원론

벼의 생육 중 냉해에 의한 출수가 가장 지연되는 생육단계는?

1. 유효분얼기

2. 유수형성기

3. 감수분열기

4. 출수기

>벼의 생육 중 냉해에 의한 출수가 가장 지연되는 생육단계는 유수형성기부터 개화기까지로, 이러한 시기의 장해를 장해형 냉해라고 한다.

 

 

다음 중 작물의 주요온도에서 '최적온도'가 가장 낮은 작물은?

1. 보리

2. 오이

3. 옥수수

4. 멜론

>보기 중 보리의 최적온도가 가장 낮다

>보리 <사탕무 밀 귀리 호밀 < 담배 < 완두 < 옥수수 벼 < 오이 < 멜론, 삼

 

 

질산 환원 효소의 구성 성분으로 콩과작물의 질소고정에 필요한 무기성분은?

1. 몰리브덴

2.

3. 마그네슘

4. 규소

>몰리브덴 : 질산환원효소의 구성성분. 질소대사에 필요하고 콩과작물 뿌리혹박테리아의 질소고정에도 필요하다. 콩과작물에 그 함량이 많으며 결핍하면 모자이크병과 비슷한 증세가 나타난다

 

 

작물의 내동성을 감소시키는 생리적 요인은?

1. 전분함량이 많다.

2. 원형질의 수분투과성이 크다.

3. 원형질의 점도가 낮다.

4. 원형질의 친수성 콜로이드가 많다.

>전분함량이 많을수록 작물의 내동성은 감소된다

>작물의 내동성과의 관계(작물의 종류와 품종에 따라 내동성에 차이가 있다)

-전분함량 많을수록 내동성 저하

-세포 내 자유수 함량 많을수록 내동성 저하

-잎 색깔이 연할수록 내동성 저하

-삼투압 낮을수록 내동성 저하

-체내 당분함량 적을수록 내동성 저하

-원형질 점도 높을수록 내동성 저하

-원형질의 친수성콜로이드 적을수록 내동성 저하

-원형질의 수분투과성이 낮을수록 내동성 저하

 

 

다음 중 토양 유효수분의 범위로 가장 옳은 것은?

1. 흡습수 이상의 토양수분

2. 영구위조점과 흡습수사이의 수분

3. 최대용수량과 포장용수량사이의 수분

4. 포장용수량과 영구위조점사이의 수분

>토양유효수분은 포장용수량~영구위조점 사이의 수분을 말하며(포장용수량에서 위조점의 수분량을 뺀 포장용수량에서부터 영구위조점까지의 범위), 작물에 직접 이용되는 유효수분범위는pF1.8~4.0이다

 

 

다음 중 T/R율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감자나 고구마의 경우 파종기나 이식기가 늦어질수록 T/R율이 감소한다.

2. 일사가 적어지면 T/R율이 감소한다.

3. 질소를 다양시용하면 T/R율이 감소한다.

4. 토양함수량이 감소하면 T/R율이 감소한다.

>토양함수량이 감소하면 T/R율이 감소한다

>T/R율 : 작물의 지상부의 생장량에 대한 지하부의 생장량의 비율. T/R율이 높은 것은 지상부(T)가 지하부(R)보다 생장량이 높다는 의미.

>감자나 고구마처럼 지하부를 생산하는 작물은 T/R율이 낮아야 수확량이 증가한다. 지하저장기관을 수확의 목적으로하는 고구마, 감자 등은 파종기나 이식기가 늦어질수록 지하부의 중량감소가 지상부의 중량감소보다 크기 때문에 T/R율이 커진다

 

 

다음 중 재배종과 야생종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야생종은 휴면성이 약하다.

2. 재배종은 대립종자로 발전하였다.

3. 재배종은 단백질 함량이 높아지고 탄수화물 함량이 낮아지는 방향으로 발달하였다.

4. 성숙시 종자의 탈립성은 재배종이 크다.

>재배종과 야생종의 특징

-야생종은 휴면성이 강하다

-재배종은 대립종자로 발전하였다 (큰 종자)

-재배종은 단백질함량이 낮아지고 탄수화물함량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발달하였다

-성숙 시 종자의 탈립성은 야생종이 크다 (탈립성 : 탈곡 대상 작물의 낱알이 이삭으로부터 떨어지는 성질. 수확전에 떨어지면 안됨)

 

 

다음 중 벼의 비료 3요소 흡수 비율로 가장 옳은 것은?

1. 질소 5 : 인산 1 : 칼륨 1.5

2. 질소 5 : 인산 2 : 칼륨 4

3. 질소 4 : 인산 2 : 칼륨 3

4. 질소 3 : 인산 1 : 칼륨 4

>벼의 비료 3효소 흡수비율은 5:2:4

>콩 : 5 1 1.5

>옥수수 : 4 2 3

>감자 3 1 4

 

 

다음 중 2년생 식물로만 구성되어 있는 것은?

1. 가을보리, 코스모스

2. 가을밀, 국화

3. 옥수수, 호프

4. , 사탕무

>2년생 식물은 종자를 뿌려 1년 이상을 경과해야 개화, 성숙하는 식물이다. 무, 사탕무, 당근

>가을보리, 가을밀, 옥수수, 코스모스, 국화 : 1년생작물

>호프 : 다년생(영년생) 작물

 

 

다음 주 에틸렌의 전구물질에 해당하는 것은?

1. tryptophan

2. methionine

3. acetyl CoA

4. phenol

>에틸렌의 전구물질은 아미노산의 하나인 methionine이며, 두 단계의 효소반응에 의해 생성된다

>천연에틸렌 C2H4

>합성에틸렌 에세폰

 

 

강산성이 되면 가급도가 감소되어 작물 생육에 불리한 원소는?

1. Cu

2. Zn

3. P

4. Mn

>산성토양에서 강산성이 되면 가급도(용해도)가 저하되는 성분은 Mo(몰리브덴), P(인), Ca(칼슘), Mg(마그네슘), B(붕소).

>강산성에서 가급도 상승 : Al, Cu, Zn, Mn

 

 

다음 중 이랑을 세우고 이랑에 파종하는 방식은?

1. 휴립휴파법

2. 성휴법

3. 휴립구파법

4. 평휴법

>휴립휴파법 : 이랑을 세우고 이랑에 파종하는 방식

 

 

농약학

다음 제형 중 주로 병해충 예방용 약제를 대상으로 하며 단위면적당 농약 투입량이 가장 적은 것은?

1. 종자처리수화제(WS)

2. 유현탁제(SE)

3. 액상수화제(SC)

4. 미립제(MG)

>보기에서 종자처리수화제가 병해충 예방용 농약투입량이 가장 적다

>종자의 표면에 약제가 잘 부착하도록 제제한 종자소독 전용의 가는 분말 제형. 종자 병해충의 예방위주로 사용하며 적은양으로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갯지렁이에서 천연 살충물질을 추출하여 농약으로 개발한 살충제는?

1. 아바멕틴(avamectin)

2. 벤설탑(bensultap)

3. 메소밀(methomyl)

4. 엔도설판(endosulfan)

>벤설탑(bensultap)은 nereistoxin계 살충제로 바다갯지렁이로부터 얻어진 천연독소 성분으로 접촉독 및 식독제로서 딱정벌레목, 나비목에 대하여 효과가 우수하다. (벼, 과수 등의 해충 방제에 효과적)

 

 

식물체 내에서 베타산화(β-oxidation) 여부로 선택성을 나타내는 것은?

1. 2,4,5-T

2. 2,4-DES

3. 2,4-DB

4. UDPG

>2,4-D는 카복실산에 있는 탄소수에 의해 짝수인 경우에는 베타산화 작용을 받아 살초활성을 가지고, 홀수인 경우에는 살초활성이 없다.

>2,4-DB는 기본적으로 불활성화 상태. 식물체내로 들어가면 베타옥시데이션(베타산화)에 의해 2,4-D로 변해 활성화된다. 콩과식물에서는 베타옥시데이션이 일어나지 않아 선택성이 있는 제초제로활용된다

 

 

다음 살충제 중 유기인제가 아닌 것은?

1. 테트라디폰(테디온)

2. 디디브이피(DDVP)

3. 파라치온

4. 파프(PAP)

>테트라디폰(테디온)은 유기유활계 응애방제약제(살비제,살응애제)

 

 

R Hg X 로 표시되는 유기수은제에서 X 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HPO4

2. -Cl

3. -OH

4. -CH3

>유기수은제인 PMA는 R-Hg-CH3로 표시되며 종자처리 소독제로 개발(1930년대)되었으나 현재는 환경독성이 높아 사용이 금지됨

 

 

다음 살균제 중 유기유황제가 아닌 것은?

1. 프로피

2. 지람

3. 네오아소진

4. 만코지

>네오아소진은 유기비소제 농약으로 사과부란병 등에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사용금지

 

 

어류에 대한 농약의 독성 및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전착

2. 성장단계

3. 수온

4. 제제형태

>어류에 대한 농약의 독성 및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성장단계(생육단계), 수온, 제제형태, 생물의 종류

>어류는 알 때 농약에 대하여감수성이 가장 낮고 수온이 높으면 농약에 대한 저항성이 낮아진다

 

 

유제(乳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화제보다 살포액의 조제가 편리하다.

2. 수화제보다 약효가 다소 낮다.

3. 수화제보다 제조비가 높다.

4. 수화제보다 포장 · 수송 · 보관이 어렵다.

>2번은 거리가 멀다

 

 

싸이토키닌계의 식물호르몬제로써 콩나물의 생장촉진제로 가장 적합한 약제는?

1. 페노프롭(fenoprop)

2. -비에이(6-BA)

3. 지베렐린(gibberellin)

4. 아토닉(atonic)

>6-BA는 시토키닌류에 속하는 생장조절제로 콩나물에 많이 사용된다

>시토키닌류 : -BA , kinetin, zeatin, ipa

 

 

BP(밧사)원제 0.4kg으로 2% 분제를 만들려고 할 때 소요되는 증량제의 양은? (, 원제의 함량은 94% 이다.)

1. 1.84kg

2. 4.60kg

3. 18.4kg

4. 46.0kg

>증량제의 양

=원분제의 무게(중량) * {(원분제 농도/희석할(원하는)농도)-1}

=0.4*{(94/2)-1}=18.4kg

 

 

농약의 검사방법에서 저비산분제(DL)의 검사항목이 아닌 것은?

1. 분산성

2. 분말도

3. 입도

4. 가비중

>미립자를 최소화한 증량제와 응집제를 사용하여 약제의 표류 및 비산을 경감시킨 제제로 1번은 거리가 멀다.

 

 

다음 중 생장 조정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1. Oxadiazon

2. Butachor

3. Molinate

4. 2,4-D

>2,4-D는 저농도에서 생장조정제로, 고농도에서 제초제로 사용된다.

 

 

다음 중 농약제제의 품질불량이 원인이 되는 약해가 아닌 것은?

1. 원제 부성분에 의한 약해

2. 불순물의 혼합에 의한 약해

3. 섞어 쓰기 때문에 일어나는 약해

4. 경시변화에 의한 유해성분의 생성에 의한 약해

>3번은 농약제제의 품질불량이 원인이 아닌 혼용을 잘못하여 원인이 된 경우이다.

 

 

다음 중 요소계 제초제는?

1. 아파론(Iinuron)

2. 2,4-D

3. 벤설라이드

4. 론스타(Oxadiazon)

>linuron(니루론)은 요소계 제초제로 상품명은 아파론, 아파록스이다

 

 

잡초방제학

뿌리가 토양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물 위에 떠다니는 부유성 잡초에 해당하는 것은?

1. 가래

2. 네가래

3. 생이가래

4. 가는가래

>생이가래는 물 위에 떠서 자라며 잎1개가 물속에서 뿌리 역할을 한다

 

 

잡초의 예방적 방제 방법이 아닌 것은?

1. 관배수로 관리

2. 재식밀도 조절

3. 작물종자 정선

4. 농기구(농기계) 청결 관리

>예방적 방제는 잡초종자의 유입이나 전파를 막는 방법으로 재식밀도 조절은 거리가 멀다

>재식밀도 조절 : 잡초의 생육 조건을 불리하게 하여 작물과 잡초의 경합에서 작물이 이기도록 하는 경종적, 생태적, 재배적 방제법에 속한다

>잡초의예방적 방제법

-재배관리의 합리화

-작물종자의 정선

-오염된 작물종자의 수확관리

-비산형 종자의 관리

-관개수로의 관리

-농기계 사용 후 청소, 청결관리

 

 

토양 환경과 잡초의 출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종자가 무거울수록 발생심도가 깊다.

2. 토양이 과습하면 출현율이 낮아진다.

3. 토양이 건조하면 출아율이 낮아진다.

4. 사질토는 중점토보다 발생심도가 얕다.

>사질토는 중점토보다 발생심도가 깊다

 

 

잡초의 생태적 방제 방법이 아닌 것은?

1. 윤작 실시

2. 재배양식 변경

3. 피복 작물 재배

4. 잡초만을 골라 먹는 생물 이용

>4번은 생물학적 방제방법

 

 

작물, 잡초, 제초제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 , 뷰타클로르 입제

2. 잔디, 크로바, 디캄바 액제

3. , 방동사니, 이사-디 액제

4. 사과나무, 쇠비름, 시마진 수화제

>이사-디 액제는 광엽성 잡초에 선택성을 보이며, 방동사니는 사초과(방동사니과)이기 때문에 연결이 옳지 않음

 

 

잡초 종자의 산포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바랭이 : 성숙하면서 흩어짐

2. 소리쟁이 : 물에 잘 떠서 운반됨

3. 가막사리 : 바람에 잘 날려서 이동함

4. 메귀리: 사람이나 동물 몸에 잘 부착함

>가막사리는 바람에 잘 날리지 않으며, 사람이나 동물에 부착되어 이동한다.

 

 

논에서 잡초의 군락천이를 유발시키는 데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1. 장간종 품종 재배

2. 동일 작물로만 재배

3. 동일한 제초제 연속 사용

4. 지속적인 화학 비료 사용

>동일한 제초제의 연용은 논에서 잡초의 군락천이를 유발시키는 가장 큰 원인이 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