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식물병리의 개념
병 : 끊임 없는 외부의 자극에 의해서 식물의 영양, 생장, 생식 등 생리적 기능이 악화되는 과정
병해 : 병에 의한 질,양적인 피해 발생
2. 식물병의 피해와 중요성
식물병의 중요성
1) 생산량 감소에 따른 식량 부족
2) 식물 주산지 변화 ( 병해충이 발생하는 곳을 피해서 이동하게된다)
3) 품질 저하
4) 방제 작업에 따른 경제적 손실
5) 독소에 의한 인축 피해
식물병 발생의 역사
1) 맥각중독병 (11~13세기 독일, 프랑스)
인축공통피해 (사람:구토,복통,설사,경련,괴저/송아지:출혈)
귀리,호밀,밀,보리에 발생
* aflatoxin (Aspergillus flavus가 생산하는 균독소. 옥수수나 땅콩 등의 저장 곡물이 부적합한 저장이 일어날 경우 발생. ex)1960년 영국, 칠면조 폐사 -> 브라질 수입 땅콩에서 aspergillus flavus 기생)
2) 감자 역병 (1845~1851년 아일랜드)
Phytophthora infestants
잦은 강우가 발생 원인
3) 커피 녹병 (실론지방(현재의스리랑카. 당시 영국 식민지))
실론에서 브라질과 중남미로 주산지가 변화하였고 영국에서는 커피를 구할수 없게 되어 대신 홍차를 마심
4) 밤나무 수지동고병 (줄기마름병)
동아시아(중국)에서 미국으로 가져다 심은 동양계 밤나무를 통해 병원균이 전파되어 미국의 밤나무가 병에 걸려 전역으로 확산되고 전멸함. -> 법적 방제의 중요성
5) 벼 깨씨무늬병 (1942년 인도 뱅갈지방)
200만명 아사
식물병리 역사
1) Teophrastus : 식물학의 아버지. 곡류,두류,수목의 병에 대해 관찰해 식물지를 남김
2) Prevost : 프랑스. 비린깜부기병의 원인 증명
3) deBray : 독일. 감자 역병균의 병원체 밝힘
4) Pasteur : 프랑스. 미생물병원설 확립
5) Millardet : 프랑스, 1885, 보르도액(황산구리수화제)으로 포도 노균병 방제 가능성 발견
6) Burrill : 미국, 1878, 불마름병(화상병)의 원인이 세균임을 주장
'자격증 > 식물보호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부일지] D-24 2015년 제2회 기출문제 (0) | 2022.02.09 |
---|---|
[공부일지] D-26 2015년 제1회 기출문제 (0) | 2022.02.07 |
식물병리학 003 : 식물병의 발생 (0) | 2022.01.19 |
식물병리학 002 : 식물병의 원인 (0) | 2022.01.18 |
2022 식물보호기사 시험 정보 (0) | 2022.0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