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식물보호기사

[공부일지] D-5 2020년 제4회 기출문제

by 초록: 2022. 3. 1.
공부일지


2022년 2월 28일

 

 

 

 

D-5

 

 


 

 

 

 

,,,~~

 

 


제1과목

식물병리학

13/20 = 65점 -> 통과

 

제2과목

농림해충학

10/20 = 50점 -> 통과

 

제3과목

재배학원론

9/20 = 45점 -> 통과

 

제4과목

농약학

9/20 = 45점 -> 통과

 

제5과목

잡초방제학

10/20 = 50점 -> 통과

 

평균

51/100 = 불합격

 

 

 


식물병리학

불완전균류의 정의로 가장 옳은 것은?

1. 균사의 형성이 불완전한 균류

2. 무성세대가 밝혀지지 않은 균류

3. 기주범위가 밝혀지지 않은 균류

4. 유성세대가 밝혀지지 않은 균류

>불완전균류 : 유성세대가 밝혀지지 않아 편의상 무성적 분생포자세대(불완전세대)만으로 분류한다

 

 

병원균이 세균인 것은?

1. 벼 깨씨무늬병

2. 토마토 풋마름병

3. 포도 탄저병

4. 감자 역병

>벼깨씨무늬병 : 진균(자낭균류)

>포도탄저병 : (자낭균)

>감자역병 : 진균(조균류)

 

 

다음 중 벼 흰잎마름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병원균이 1차전염원인 겨풀에서 월동한다.

2. 병원균의 학명은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이다.

3. 병원균이 잎 선단의 수공이나 상처부위를 통해 침입한다.

4. 병원균은 그람 양성균이다.

>벼 흰잎마름병(Xanthomonas oryzae) 한 개의 단극모를 가진 그람음성 간균으로 한천배지 위에서 백색의 원형 콜로니를 형성한다

 

 

다음 중 인공배양이 가장 불가능한 것은?

1. 사과 탄저병

2. 벼 도열병

3. 보리 흰가루병

4. 딸기 잿빛곰팡이병

>보리 흰가루병 : 병원은 자낭균류인 Erysiphe graminis로 살아있는 조직 내에서만 양분을 섭취하는 순활물기생체이다.

>흰가루병, 노균병, 녹병, 바이러스, 파이토플라스마는 절대기생체에 해당하므로 인공배양이 불가능하다

 

 

하우스 내의 습도가 높을 때 채소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공기전염성 식물병은?

1. 흰가루병

2. 뿌리혹병

3. 시들음병

4. 잿빛곰팡이병

>잿빛곰팡이병은 비교적 저온(15-20)이고 비가자주오는 다습한 조건을 좋아하며 주야간 온도변화가 심한 봄,가을, 장마기에 발생이 심하며 시설 내에서는 연중발생하므로 시설재배 시 저온 다습할 때 많이 발생하므로 온도를 높이고 습도가 높아지지 않도록 환기하여야 한다

 

 

병원균의 중간기주가 향나무인 병은?

1. 잣나무 털녹병

2. 밀 줄기녹병

3. 소나무 혹병

4. 배나무 붉은별무늬병

>중간기주

-잣나무 털녹병 : 송이풀, 까치밥나무

-밀 줄기녹병 : 매자나무

-소나무 혹병 : 졸참나무, 신갈나무

 

 

맥류 흰가루병의 2차 전염은 어떤 포자의 비산에 의하여 이루어지는가?

1. 분생포자

2. 자낭포자

3. 수포자

4. 난포자

>맥류 흰가루병 : 병든 잎에서군사 또는 자낭각형태로 월동하여 다음 해 1차 전염원이 되고 2차 전염은 바람에 날린 분생포자가 직접 각피로 침입한다

 

 

 

농림해충학

다음 중 누에의 식성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광식성

2. 단식성

3. 잡식성

4. 부식성

>단식성 : 계통이 가까운 식물만 먹는 종

>누에 : 뽕나무속

>솔나방 : 소나무속, 낙엽송속

>배추좀나방 : 십자화과

 

 

다음 중 암컷의 생식계에 해당하는 것은?

1. 수정낭

2. 정소

3. 수정관

4. 사정관

>자성생식계 : 난소 수란관 수정낭으로 구성

>웅성생식계 : 고환(정집) 수정관 사정관으로 구성

 

 

다음 중 완전변태를 하는 것은?

1. 노린재목

2. 메뚜기목

3. 파리목

4. 총채벌레목

>완전변태 : 나비목 딱정벌레목 파리목 벌목

>불완전변태 : 잠자리목 하루살이목 메뚜기목 총채벌레목 노린재목 낫발이목

>무변태 : 톡토기목

>과변태 : 딱정벌레목의 가뢰과

 

 

곤충의 방어물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곤충의 방어물질을 총칭 카이로몬이라고 한다.

2. 사회성 곤충에서는 독샘에서 분비하는 방어물질들이 대부분 효소들이다.

3. 곤충의 방어샘에서 동정된 화합물로는 알칼로이드, 테르페노이드, 퀴논, 페놀 등이 있다.

4. 비사회성 곤충에서는 방어물질 중 개미들의 경보 페로몬과 같거나 비슷한 구조의 화합물도 있다.

>카이로몬 : 다르개체 간 정보전달 통신용 화합물질로 생산자에게 불리하고 수용자에게 유리하게 작용하는 물질이다

>곤충의 방어물질을 총칭하는 것은 알로몬

 

 

다음 중 거미강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변태를 한다.

2. 곁눈과 홑눈으로 되어 있다.

3. 몸의 구분은 머리·가슴과 배의 2부분으로 되어 있다.

4. 더듬이를 가지고 있어 이동이 빠르다.

>거미강

-변태를 하지 않음

-홑눈만 있음

-더듬이가 없음 (다리가 변형된 더듬이 팔)

 

 

곤충의 표피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표피세포는 표피를 이루는 단백질, 지질, chitin화합물 등을 합성·분비한다.

2. 외원표피층은 탈피과정에서 모두 소화, 흡수되어 재활용된다.

3. 외표피층은 수분의 증산을 억제해주는 기능을 한다.

4. 기저막은 일정한 모양이 없는 비세포성 연결조직이다.

>외원표피는 경화과정을 거치고, 내원표피는 경화과정을 거치지 않는다. 탈피과정 재활용화 가능한 것은 경화과정을 거치지 않은 내원표피이다. 탈피과정에서 다시 흡수되어 재활용된다

 

 

곤충 더듬이의 마디 중 수컷이 암컷의 날개 소리를 잘 듣도록 발달된 존스턴기관이 있고, 비행 중 바람의 속도를 측정하는 감각기들이 집중되어 있는 마디는?

1. 채찍마디

2. 자루마디

3. 기본마디

4. 팔굽마디

>존스턴기관

-더듬이 제2절 흔들마디(경절)에 존재한다

-소리, 풍속을 감지하는 청각기관의 일종

-편절에 있는 털의 움직임에 자극을 받는다

>채찍마디 : 냄새를 맡는 감각기가 집중

>자루마디 : 곤충 더듬이의 첫 마디

>팔굽마디(흔들마디) : 존스턴기관이 있고 바람속도를 측정한다

 

 

다음 중 고자리파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유충이 땅속에 살면서 뿌리를 가해한다.

2. 마늘에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3. 1년에 1회 발생한다.

4. 미숙퇴비를 시용하면 많이 발생한다.

>고자리파리

-파리목 꽃파리과

-기주 : 파, 양파, 마늘, 부추 등

-뿌리 줄기(토양해충) 유충이 기주식물 뿌리부분에서 먹어들어가 줄기까지 가해한다

-연3회 발생

-번데기 형태로 땅속에서 월동

 

 

1세대를 경과하는데 가장 긴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것은?

1. 알락하늘소

2. 장수풍뎅이

3. 말매미

4. 소나무좀

>말매미 : 산란 첫해는 알로 월동하고 이듬해 6월 하순-7월 중순에 부화한 약충은 가지에서 내려와 땅속으로 들어가서 각종 활엽수의 뿌리로부터 수액을 빨아먹으며 4-5년을 보낸다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살충제는?

-접촉독, 식독작용 및 흡입독 작용을 가진다

-살충력이 극히 강하고 작용범위도 넓으나 포유류에 대한 독성이 매우 강하여 현재 국내에서는 사용이 금지된 농약이다

-일부 외국에서는 사용되고있어 식품 중 잔류허용기준이 고시된 농약이다

1. 니코틴

2. 피레스린

3. 파라티온

4. 지베렐린

>유기인계 살충제로 포유류에서도 콜린에스테라아제 억제제로 작용해 호흡부전을 유발하여 죽게한다. 살충력이 강하고 적용범위가 넓으나 독성이 강하여 인명사고가 발생해 메틸파라티온이나 그 외 저독성 살충제로 대체되고 있다

 

 

 

 

재배학원론

다음 중 요수량(要水量)이 가장 적은 작물은?

1. 오이

2. 호박

3. 클로버

4. 옥수수

>명아주 >오이 >호박 두류(알팔파, 클로버, 완두)> 감자 목화 맥류(귀리 보리) 벼 > 수수 기장 옥수수

 

 

벼에서 염해가 우려되는 최소 농도는?

1. 0.1% Nacl

2. 0.4% Nacl

3. 0.7% Nacl

4. 0.9% Nacl

>염해답

-간척지 논으로 염분농도가 높아 벼의 생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논

-간척지의 경우 염분농도가 0.3이하일 때 벼를 재배할 수 있으며 0.1%이상에서는 염해가 발생하므로 0.1%이하로 낮추기 위해 담수상태를 유지한다

 

 

다음 중 장과류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

1. , 사과

2. 복숭아, 앵두

3. 딸기, 무화과

4. ,

>과수

-인과류 : 배 사과 비파

-핵과류 : 복숭아 자두 살구 앵두

-장과류 : 포도 딸기 무화과

-각과류(견과류) : 밤 호두

-준인과류 : 감 귤

 

 

종자의 수명이 5년 이상인 장명종자로만 나열된 것은?

1. 가지, 수박

2. 메밀, 고추

3. 해바라기, 옥수수

4. 상추, 목화

>장명종자 : 클로버 알팔파 사탕무 베치 비트 토마토 가지 수박 접시꽃 나팔꽃 스토크 백일홍 데이지

 

 

C3식물과 C4식물의 광합성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C4식물은 유관속초세포가 잘 발달하였다.

2. C4식물은 크란츠(kranz)구조가 잘 발달하였다.

3. C3식물은 유관속초세포가 발달하지 않거나 있어도 엽촉체가 적고, C4식물은 유관속초세포에 다수의 엽록체가 있다.

4. C3식물은 엽육세포에서 합성한 유기산이 유관속초세포로 이동하여 그곳에서 분해되고 재고정되어 자당이나 전분으로 합성된다.

>C3식물

-캘빈회로

-엽육세포로 분화하거나 내용이 같은 엽록유세포에 엽록체가 많이 포함되어 광합성이 이곳에서 이루어지며, 유관속초세포는 별로 발달하지 않고 발달해도 엽록체를 거의 포함하지 않음

-CO2보상점 : 30-70ppm

-광호흡

-광포화점 : 최대일사의 1/4-1/2

-광합성적정온도 : 13-30도

-내건성 약함

-광합성산물전류속도 느림

-CO2첨가에 의한 건물생산 촉진효과가 크다

-벼 보리 밀 콩 귀리 담배 등

 

 

산성토양에 가장 약한 작물로만 나열된 것은?

1. 시금치, 양파

2. 땅콩, 기장

3. 감자, 유채

4. 토란, 양배추

>산성토양에 대한 작물의 적응성

벼 귀리 기장 땅콩 감자 수박 토란 > 옥수수 고구마 > 유채 > 양배추 > 콩 팥 시금치 양파

 

 

재배의 기원지가 중앙아시아에 해당하는 것은?

1. 대추

2. 양배추

3. 양파

4. 고추

>중앙아시아 : 귀리 기장 삼 당근 양파

>중국 : 팥 황마 조 피 메밀 콩

>인도,동남아시아 : 벼 참깨 오이 가지

>지중해연안 : 양배추

>남아메리카 : 감자 고추 땅콩 담배 토마토

 

 

다음 중 알줄기에 해당하는 것은?

1. 글라디올러스

2. 생강

3. 박하

4. 호프

>줄기

-지상경 또는 지조 : 사탕수수 포도나무 사과나무 귤나무 모시풀

-근경(땅속줄기) : 생강 연 박하 호프

-괴경(덩이줄기) : 감자 토란 돼지감자

-구경(알줄기) : 글라디올러스

-인경(비늘줄기) : 나리 마늘

-흡지 : 박하 모시풀

 

 

국화의 주년재배와 가장 관계가 있는 것은?

1. 온도처리

2. 광처리

3. 수분처리

4. 영양처리

>국화는 단일성의 일장효과가 인정된다. 일장효과는 광에 반응하여 개화하는 것으로 화훼류의 개화시기 조절, 깻잎생산 등에 이용된다

 

 

다음 중 작물의 주요온도에서 최적온도가 가장 낮은 것은?

1.

2. 멜론

3. 오이

4. 담배

>최적온도

담배<오이<삼 멜론

>담배보다 최적온도가 낮은 작물 : 사탕무, 호밀, 밀, 귀리, 보리(20도)

 

 

[(A×B)×B]×B로 나타내는 육종법은?

1. 다계교잡법

2. 여교잡법

3. 파생계통육종법

4. 집단육종법

>여교배육종 : 우량품종의 한두가지 결점을 보완하는데 효과적인 육종방법. 여교배는 양친 A와 B를 교배한 F1을 다시 양친중 어느 하나인 A또는 B와 교배하는 것이다.

 

 

 

 

농약학

농약의 입제(粒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표류, 비산에 의한 오염의 우려가 없다.

2. 제조과정이 다른 제형보다 간단하고 값이 저렴하다.

3. 입자가 크므로 농약을 살포하는 농민에 대하여 안전성이 높다.

4. 다른 제형에 비하여 많은 양의 주성분을 투여해야 목적하는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다.

>입제

-분류기준 : 입상으로서 원상태로 사용되는 농약

-농약원제를 증량제에 압출, 흡착, 피복, 혼합하여 제조한 입상의 제형으로 토양이나 수면에 직접 살포할 수 있으며 토양흡착성 및 물로 유실되지 않아 토양오염 우려가 적다

-입자가 비교적 무거워 비산의 위험이 적고 다른 제형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줄기나 잎에 부착되는 양이 적어 흡수이행성이 필요하며 단위면적당 사용량이 많고 가격이 비싸다

 

 

모든 제형의 농약의 약효보증기간을 설정하기 위한 시험방법에 해당하는 것은?

1. 확산성 시험

2. 가열안정성 시험

3. 저온안정성 시험

4. 내열내한성 시험

>확산성시험 : 수면전개제

>가열안정성 시험 : 전 제형

>내열내한성 시험 : 유제 액제 액상수화제 수용제 도포제 전착제 유탁제 등

 

 

잔디의 생장억제 기능을 하는 농약은?

1. 4-CPA

2. 1-naphthylacetamide

3. trinexapac-ethyl

4. maleic hydrazide

>4-CPA : 토마도톤

>1-naphthylacetamide : 루톤(NAA)

>trinexapac-ethyl : 지베렐린 말기단계 합성저해 작용기작을 보인다

>maleic hydrazide : 발아 억제제

 

 

농약 흡입 및 노출 시 가장 적절하지 않은 조치는?

1. 약물을 경구적으로 흡입 시 위내의 약물을 토하게 한다.

2. 위내의 약물을 토하게 하는 데는 일반적으로 따뜻한 소금물을 마시게 한다.

3. 산성, 알칼리성이 강한 점막부식성인 것을 마셨을 때는 식염수나 황산동을 사용한다.

4. 경피적으로 중독된 경우에는 옷을 벗기고 비눗물로 깨끗이 씻는다.

>황산동은 독성물질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만코제브 원제에 함유한 ETU(Ethylene thiourea)는 발암성이 높은 화합물로 지정되어 규제하고 있다. 농약관리법령상 이 물질의 규제 기준은?

1. 0.01% 이하

2. 0.05% 이하

3. 0.1% 이하

4. 0.5% 이하

>원제에 함유한 ETU(ethylene thiourea)농약 관리 법령상 규제 기준

-만코제브 : 0.5%이하

-메티람과립수화제 : 0.3%이하

-만코제브과립수화제 : 0.45%이하

 

 

농약관리법령상 농약의 급성독성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농약을 단 1회 투여하여 생물집단에 대한 독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2. 독성정도는 생물집단의 반수가 치사되는 양으로 평가한다.

3. 농약이 살포된 농산물을 섭취하는 소비자에 대한 독성평가를 위한 것이다.

4. 급성독성 정도에 따른 구분은 ~급까지이다.

>급성독성 : 실험동물에 화학물질을 1회 또는 반복투여하였을 때 짧은기간에 빠르게 나타나는 독성으로 조사는 48시간, 96시간 후에 반수치사량으로 평가하는 급성독성시험이 행해진다

 

 

잔류농약의 피해대책을 위하여 농약의 잔류허용기준, 반감기 및 반치사농도(LC50)등에 따라 잔류성 농약을 구분하는데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작물잔류성 농약

2. 식품잔류성 농약

3. 토양잔류성 농약

4. 수질오염성 농약

>농약의 안전성 평가 대상은 첫째, 사람에 대한 안전성, 둘째 환경에 대한 안전성, 셋째 농작물에대한 안전성이며 사람에 대한 안전성 평가는 동물을 이용하여 인축독성을 시험하고, 환경에 대한 안전성조사로 환경생물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여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토양 잔류성 및 수질오염성이높은 농약은 등록을 제한하고 있다

 

 

유제 토입원료 중 계면활성 작용을 하는 화합물은?

1. xylene

2. epichlorohydrin

3. polyoxyethylene

4. O,O-diethyl O-(p-nitrophenyl)phosphate

>polyoxyethylene : 습윤제. 세정제, 가용화제로 사용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농약관리법령상 농약에 해당하는 것으로 옳은 것은?

1. 농작물을 해하는 균, 곤충, 응애 등의 방제에 사용하는 살균제, 살충제, 제초제 및 농작물의 생리기능을 증진 또는 억제하는데 사용하는 약제

2. 농작물의 생장을 저해하는 병충해의 방제에 사용하는 유제, 액제, 분제, 입제와 약효를 증진시키는 자재

3. 농작물의 생장을 저해하는 병충해의 방제에 사용하는 살충제, 살균제, 제초제, 살비제 및 생장촉진제

4. 농작물의 생장을 저해하는 병충해의 방제에 사용하는 살균제, 살충제, 제초제, 살비제, 보건용 약제와 약효를 증진시키는 자재

>농약관리법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개정 2010. 4. 12., 2011.7. 25., 2013, 3, 23.>

“농약”이란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가. 농작물[수목, 농산물과 임산물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을 해치는 균, 곤충, 응애, 선충, 바이러스, 잡초, 그 밖에 농림축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동식물(이하 “병해충”이라한다)을 방제하는 데에 사용하는 살균제 살충제 제초제

 

 

제초제의 살초기작이 아닌 것은?

1. 신경전달 저해

2. 광합성 저해

3. 에너지생성 저해

4. 세포분열 저해

>제초제의 작용기작

-광합성저해

-호흡작용 및 산화적 인산화 저해

-호르몬 작용 교란

-단백질 합성저해

-세포분열 저해

 

 

 

 

잡초방제학

제초제가 식물체에 흡수 이행을 저해하는데 관여하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제초제의 농도

2. 식물의 영양상태

3. 식물의 형태적 특성

4. 제초제의 처리 부위

>제초제의 흡수이행 : 농약의 특성, 사용방법, 식물의 형태적 특성, 영양상태, 처리부위, 환경 등의 영향을 받는다

 

 

논에서 주로 종자로 번식하는 잡초는?

1. 올미

2. 벗풀

3. 올방개

4. 물달개비

>1년생 잡초는 주로 종자로 번식한다.

>1년생 논잡초 : 강피 물피 돌피 둑새풀 참방동사니 알방동사니 바람하늘지기 바늘골 물달개비 물옥잠 여뀌 자귀풀 가막사리

 

 

광발아 잡초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비름

2. 광대나물

3. 소리쟁이

4. 왕바랭이

>일반적으로 여름잡초는 광발아성을 보인다

>암발아 : 광대나물 냉이 별꽃 독말풀

 

 

월년생 잡초로만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 냉이, 뚝새풀

2. 별꽃, 냉이, 벼룩나물

3. 냉이, 쇠비름, 벼룩나물

4. 쇠비름, 뚝새풀, 별꽃아재비

>월년생 : 추파일년초를 의미하며, 겨울을나고 다음해에 개화, 결실 및 고사하는 식물로 겨울잡초가 이에 해당한다. 냉이 개꽃 별꽃 둑새풀 개망초 벼룩나물

 

 

잡초의 학명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올미 : Scirpus juncoides

2. 벗풀 : Eleocharis kuroguwai

3. 너도방동사니 : Cyperus serotinus

4. 올챙이고랭이 : Sagittaria pygmaea

>올미 : Sagittaria pygmaea

>벗풀 : Sagittaria trifolia

>올챙이고랭이 : Scirpus juncoides

 

 

가시나 갈고리 등을 이용하여 사람이나 동물에 부착해서 종자가 이동하는 잡초가 아닌 것은?

1. 메귀리

2. 소리쟁이

3. 도꼬마리

4. 도깨비바늘

>소리쟁이열매 : 수과는 3릉형이며 3개의 숙존악에 싸여있고 날개를 달걀모양 또는 심장형이며 거의 톱니가 없고 길이 5mm가량이며 단단하다. 사마귀같은 혹은 길이가 1.5~2mm이다

 

 

주로 논에 발생하는 잡초로만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 바랭이

2. 명아주, 뚝새풀

3. 개비름, 물옥잠

4. 올미, 여뀌바늘

>1년생 논잡초 : 강피 물피 돌피 둑새풀 참방동사니 알방동사니 바람하늘지기 바늘골 물달개비 물옥자 여뀌 자귀풀 가막사리

>다년생 논잡초 : 나도겨풀 너도방동사니 올방개 올챙이고랭이 매자기 가래 벗풀 올미 개구리밥 미나리

 

 

벼와 피의 주된 형태적 차이점은?

1. 피에만 엽이가 있다.

2. 벼에만 잎몸이 없다.

3. 벼에만 잎혀가 있다.

4. 벼와 피에는 잎집이 없다.

>피

-논,밭 등에서 발생하는 1년생 잡초로, 종자번식을 한다

-잎은 벼와 비슷하나 엽설과 엽이가 없어 구별된다

-벼의 수량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잡초군락의 천이에서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은?

1. 물관리

2. 우점잡초

3. 경운 깊이

4. 제초제 사용

>잡초군락 천이 : 재배작물의 변화, 경종조건의 변화, 제초방법의 변화 등 농경법의 변천이 가장 큰 요인이며 동일제초제의 연용 등 제초시기 및 방법에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다

 

 

형태적 특성에 따른 잡초 분류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엽류 잡초

2. 광엽류 잡초

3. 화본과류 잡초

4. 방동사니과류 잡초

>잡초의 형태적 분류 : 화본과, 방동사니과(사초과), 광엽잡초로 분류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