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식물보호기사

[공부일지] D-23 2015년 제3회 기출문제

by 초록: 2022. 2. 10.
공부일지

2022년 2월 10일 목요일

 

 

D-23

 


 

점점 감으로 풀고있는 느낌이다 어떻게 공부를 해야하지~.~?

오늘은 기출 3번 본 것 중에 제일 못 봤다! ^^

 

 


제1과목

식물병리학

7/20 = 35점 ->과락

 

제2과목

농림해충학

11/20 = 55점 -> 통과

 

제3과목

재배학원론

8/20 = 40점 -> 통과

 

제4과목

농약학

10/20 = 50점 -> 통과

 

제5과목

잡초방제학

7/20 = 35점 -> 과락

 

평균

43/100 = 불합격

 


식물병리학

 

밀 줄기녹병의 특징적인 표징은?

1. 균핵

2. 포자퇴

3. 균사체

4. 자낭각

>맥류 줄기녹병 : 중간기주 매자나무, 포자퇴 형성

 

 

감자 역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기전염성균과 토양전염성균이 있다.

2. 자낭균에 의한 병으로 포자형태로 토양에서 월동한다.

3. 잎 언저리에 암록색의 수침상 부정형 병반을 형성한다.

4. 주로 기온이 20내외이며 습기가 많은 조건에서 발병한다.

>역병 : 균사로 흙속의 병든 감자나 씨감자에서 월동

 

 

벼 잎집무늬마름병의 발병 최성기는 언제인가?

1. 파종 직후

2. 고온 다습한 시기

3. 수확이 임박한 가을

4. 서늘하고 비가 많이 오는 장마철

>벼 잎집얼룩병의 발병 최성기는 고온 다습한 8~9월 경

 

 

다음 중 식물병을 방제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종자소독제를 이용한 방법 : 처리가 간편하고 시간과 노력에 비해 효과가 크다.

2. 경엽처리제를 이용한 방법 : 농약 사용량을 계속 증가하여도 방제효과는 크게 증가하지 않는다.

3. 토양처리제를 이용한 방법 : 작물을 심기 전 주로 유제나 액제를 토양 표면에만 남도록 처리한다.

4. 훈연제를 이용한 방법 : 연무기를 이용한 연무를 살포하거나 약제를 태워 훈연입자를 확산시킨다.

>토양 속까지 처리해야 한다. 토양처리제는 주로 분제나 입제를 사용한다

 

 

송이풀을 중간기주로 하는 이종기생병은?

1. 잣나무 털녹병

2. 소나무 줄기녹병

3. 오리나무 잎녹병

4. 사과나무 붉은별무늬병

>잣나무 털녹병의 전염경로 : 잣나무녹포자 -> 송이풀 여름포자 > 송이풀 겨울포자 > 송이풀 담자포자 > 잣나무에 침입

 

 

다음 중 오동나무 빗자루병을 발병시키는 주요 매개충이 아닌 것은?

1. 오동나무이

2. 담배장님노린재

3. 썩덩나무노린재

4. 오동나무애매매충

>오동나무 빗자루병은 노린재와 매미충류에 의해 매개된다

 

 

주로 감염된 애멸구에 의해 발생하며, 피해를 입은 작물의 잎이 황백색으로 되어 뒤틀리거나 말리고, 결국 고사하게 되는 병은?

1. 벼 오갈병

2. 감자 잎말림병

3. 오이 모자이크병

4. 벼 줄무늬잎마름병

>벼 줄무늬잎마름병은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고 애멸구에 의해 매개전염된다. 바이러스는 매개충에 의해 경란전염되어 체내에서 월동하고 다음해의 제 1차 전염원이 된다.

 

 

세균이 식물에 병을 일으킬 수 있음을 처음으로 밝힌 사람은?

1. Linne

2. Tillet

3. Burrill

4. de bary

 

 

다음 중 사질토양의 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병은?

1. 모썩음병

2. 키다리병

3. 깨씨무늬병

4. 흰잎마름병

>벼 깨씨무늬병 : 자낭균류에 의한 병, 자낭포자로 인한 표징이 잘 나타나지 않음, 가장 효과적인 비화학적 방제법(합리적인 비배관리), 짚 또는 종자에서 월동, 사질 토양의 논에서 발생이 심하다

 

 

세포벽 성분의 차이에 의한 그램염색 반응은 매우 뚜렷하여 Gram 반응으로 세균을 분류 할 수 있다. 그램음성 세균끼리만 짝지어진 것은?

1. Bacillus, Erwinia

2. Bacillus, Xanthomonas

3. Pseudomonas, Xanthomonas

4. Pseudomonas, Streptomyces

>bacillus,streptomyces는 그람 양성, erwinia, pseudomonas, xanthomonas는 그람 음성

 

 

맥류의 흰가루병균이 월동하는 형태로 옳은 것은?

1. 자낭각

2. 자낭구

3. 자낭반

4. 자낭포자

>맥류 흰가루병은 자낭각, 균사의 형태로 병든 낙엽 또는 가지에서 월동한다

 

 

식물 병원균 중 바이러스의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핵산은 RNA 또는 DNA 이다.

2. 주요 구성 성분은 핵산과 외피단백질이다.

3. 기타 성분으로는 미량 탄수화물, 금속 이온 등이 있다.

4. 동물바이러스와 다르게 핵단백질이 외막으로 둘러싸인 것이 많다.

>핵단백질은 외막으로 둘러싸여있지 않다 = 핵, 핵막 없음

 

 

식물병의 전반은 여러 방법으로 나타나는데, 다음 중 주로 토양에서 전반되는 병은?

1. 보리 흰가루병

2. 오이 덩굴쪼김병

3. 사과나무 부란병

4. 벼 줄무늬잎마름병

 

 

 

농림 해충학

유충이 식물체의 잎을 주로 가해하며, 4-5회 발생하고 땅 속에서 번데기로 월동하는 것은?

1. 사과면충

2. 파굴파리

3. 고자리파리

4. 아메리카잎굴파리

>파굴파리는 토양 중에서 번데기로 월동하고 성충은 4월부터 나타나는데 10월까지 4-5세대를 경과한다

 

 

 

곤충의 다리의 구조를 가슴에서부터 배열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도래마디 - 밑마디 - 넓적마디 - 종아리마디 - 발목마디

2. 밑마디 - 도래마디 - 종아리 마디 - 넓적마디 - 발목마디

3. 밑마디 - 도래마디 - 넓적마디 - 종아리마디 - 발목마디

4. 종아리마디 - 밑마디 - 도래마디 - 넓적마디 발목마디

 

 

 

세계적으로 대표적인 천적을 이용한 방제사레이며, 이세리아깍지벌레를 방제하기 위한 효과적인 천적은?

1. 황온좀벌

2. 애꽃노린재

3. 칠레이리응애

4. 베달리아무당벌레

 

 

곤충 발육단계를 연령등급으로 구분하여 생명표를 작성하는 경우 필요 없는 것은?

1. 연령군 내 나이 파악

2. 연령군 내 생존수 파악

3. 연령군 내 사망수 파악

4. 연령군 내 치사원인 파악

>생명표 작성 내용 : 연령, 간격, 생존개체수, 사망요인, 사망개체수, 사망률

 

 

곤충의 말피기관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말피기관이 없는 곤충도 존재한다.

2. 혈림프의 이온 조성과 삼투압의 조절기능을 담당한다.

3. 최종적으로 배설하는 질소대사물질은 수용성이 아주 높은 요소형태이다.

4. 원치 않는 물질은 체외로 배출하고 필요한 화합물은 체내에 남게 하는 배설기관이다.

>지상곤충은 주로 질소대사산물을 물에 녹지 않는 요산의 형태로 배출한다

 

 

외국에서 화훼류 수입 시 침입된 해충으로 시설하우스 내에서는 휴면 없이 연중 15회 이상 발생 가능하며 토마토 등 다양한 작물에 피해를 주는 것은?

1. 꽃매미

2. 잠두진딧물

3. 대만총채벌레

4. 아메리카잎굴파리

>아메리카 잎굴파리의 피해 부위는 흰색의 줄 모양이 생기고 심하면 잎 전체가 말라죽는다

 

 

다음에 주어진 학명에서 학명 중간에 ( ) 로 표시한 의미로 옳은 것은?

Potamanthodes formosus (Eaton) Ulmer

1. 발표 당시와 종명이 바뀐 것을 나타낸다.

2. 발표 당시와 속명이 바뀐 것을 나타낸다.

3. 발표 당시와 과명이 바뀐 것을 나타낸다.

4. 발표 당시와 아종명이 바뀐 것을 나타낸다.

 

 

농약의 부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잠재곤충이 주요해충으로 등장할 수 있다.

2. 먹이사슬에 의한 농약의 축적을 야기할 수 있다.

3. 동물상이 복잡해져 생태계의 파괴가 나타난다.

4. 약제저항성 해충의 출현으로 약효가 떨어진다.

 

 

다음 중 외국으로부터 유입된 해충이 아닌 것은?

1. 벼밤나방

2. 벼물바구미

3. 온실가루이

4. 꽃노랑총채벌래

>외국으로부터 침입한 해충 : 온실가루이, 사과면충, 감자나방, 솔잎혹파리, 벼물바구미, 꽃노랑총채벌레, 이세리아깍지벌레, 미국흰불나방, 버즘나무방패벌레

 

 

 

재배학원론

 

다음 중 (), (), (), ()에 알맞은 내용은?

-감자는 큰 씨감자를 쓸수록 파종량이 ()

-맥류는 ()보다 ()에서 생육이 떨어지므로 ()의 파종량을 늘린다

1. : 많아진다, : 중부, : 남부, : 남부지역

2. : 많아진다, : 남부, : 중부, : 중부지역

3. : 적어진다, : 남부, : 중부, : 중부지역

4. : 적어진다, : 중부, : 남부, : 남부지역

>감자는 큰 씨감자일수록 눈을 포함한 쪼갠 감자의 무게가 많아지므로 파종량이 많아진다. 보리는 남부보다 기온이 낮은 중부에서 파종량이 더 많다.

 

 

종자가 식물학상 과실로 분류되며, 과실이 나출되어 있는 작물에 해당하는 것은?

1. 상추

2. 귀리

3.

4. 복숭아

>국화과 채소(상추,쑥갓,우엉)는 종자에 과피가 붙어있는 상태이므로 과실에 해당한다. 이러한 작물에는 상추, 밀, 쌀보리, 옥수수 등이 있다

 

 

파종시기를 결정하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내한성이 약한 쌀보리는 만파에 적응을 잘한다.

2. 추파성 정도가 높은 품종은 조파하는 것이 좋다.

3. 감자는 고랭지에서는 평지보다 늦게 파종한다.

4. 고구마는 맥후작보다 단작일 때 빨리 심는다.

>내한성이 약한 쌀보리는 조파조식한다

 

 

다음은 시설 내의 환경 특이성이다. (), (), ()에 알맞은 내용은?

-일교차가 ()

-위치별 분포가 ()

-지온이 ()

1. : 작다, : 다르다, : 높다

2. : 작다, : 같다, : 높다

3. : 크다, : 다르다, : 낮다

4. : 크다, : 다르다, : 높다

 

 

다음 중 복토 깊이를 10cm 이상으로 해야 하는 작물은?

1. ,

2. 옥수수, 완두

3. 아네모네 , 잠두

4. 수선, 나리

>콩(3.0-4.5), 팥(3.0-4.5), 옥수수(3.0-4.5), 완두(3.0-4.5), 아네모네(2.0-3.0), 잠두(3.0-4.5), 수선 나리(10cm이상)

 

 

염분이 많은 간척지토양에서 벼 재배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만식재배를 한다.

2. 휴립재배를 한다.

3. 논물을 말리지 않으며 자주 환수한다.

4. 황산암모니아 비료를 피하고 석회를 충분히 시용한다.

>염분이 많은 간척지 토양에서는 벼를 조기재배한다

 

 

다음 중 포기를 많이 띄워서 구덩이를 파고 이식하는 방법은?

1. 조식

2. 혈식

3. 점식

4. 난식

 

 

다음 설명의 ( )에 알맞은 내용은?

장해형 냉해는 ( )부터 ( )까지, 특히 생식세포의 감수분열기에 냉온으로 벼의 정상적인 생식기관이 형성되지 못하거나 또는 화분 방출, 수정 등에 장해를 일으켜 불임현상이 나타나는 형의 냉해이다

1. 유수형성기, 개화기

2. 유수형성기, 출수기

3. 생육초기, 고숙기

4. 생육초기, 출수기

 

 

다음 중 상위성이 있는 경우의 유전자상호작용에서 피복유전자의 분리비는?

1. 9 : 7

2. 12 : 3 : 1

3. 15 : 1

4. 9 : 3 : 4

 

 

다음 중 연작의 피해가 상대적으로 가장 작은 것으로만 이루어진 것은?

1. 담배, 양파

2. 잠두, 토란

3. 가지 , 토마토

4. , 우엉

>연작의 해가 적은 작물은 벼,맥류,옥수수,조,수수,고구마,삼,담배,무,양파,당근,호박,아스파라거스 등이다

 

 

다음 핵외유전의 설명 중 (), (), ()에 알맞은 내용은?

-핵외유전은 정역교배의 결과가 일치()

-mendel의 법칙이 적용()

-핵외유전자는 핵 게놈의 유전자지도에 포함될 수 ()

1. : 한다, : 된다, : 없다

2. : 한다, : 된다, : 있다

3. : 하지 않는다, : 되지 않는다, : 없다

4. : 하지 않는다, : 되지 않는다, : 있다.

 

 

콩과작물에 대한 간이 종자발아력 검사방법으로 사용되는 테트라졸륨법의 TTC용액의 농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0.1%

2. 1.0%

3. 1.5%

4. 10%

 

 

 

농약학

 

BHC제 중 살충력이 가장 강한 γ-BHC 의 광학적 제법에 이서서 가장 적당한 빛의 파장은?

1. 100 - 300nm

2. 300 - 500nm

3. 500 - 700nm

4. 700 900nm

 

 

마늘, 백합의 뿌리응애 방제에 주로 사용되는 유기인계 약제는?

1. 이피엔(EPN)

2. 레피멕틴(Lepimectin)

3. 디메토에이트(Dimethoate)

4. 메타시스톡스(Demeton-S-metyl)

>디메토에이트 : 유기인계 약제로 뿌리응애,깍지벌레,진딧물의 방제에 사용한다

 

 

토마토, 참외와 같은 장기재배형 작물에 적합하며 각종 선충에 전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유기인계통의 농약은?

1. 카보설판

2. 포스티아제이트

3. 피리프로시펜

4. 티아클로프리드

>살선충제의 종류에는 포스티아제이트, 다조멧, 에토프로포스, 카두사포스, 메탐소듐, 디메틸빈포스 등이 있다

 

 

구리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포도의 노균병에 보르도액의 유효함이 알려져 구리제가 사용되게 되었다.

2. 유기구리는 구리가 산소원자 및 질소원자와 킬레이트 결합을 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3. 이산화탄소나 유기산 등에 의하여 천천히 구리이온이 방출되어 작물을 보호한다.

4. 석회유황합제나 기계유 유제 등과 혼용하면 약효의 증진을 가져온다.

>석회유황합제나 기계유 유제등과 혼용할 수 없다

 

 

다음 제충국의 유효성분 중 집파리에 대한 독성이 가장 큰 것은?

1. 피레트린

2. 피레트린

3. 시네린

4. 시네린

>집파리에 대한 제충국의 독성은 피레트린 1의 독성이 가장 크다

 

 

2, 4-D의 성분 구조는?

 

 

농약의 저항성 발달 정도를 표현하는 저항성계수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저항성 LD50/ 감수성 LD50

2. 감수성 LD50× 저항성 LD50

3. 감수성 LD50/ 복합저항성 LD50

4. 감수성 LD50× 복합저항성 LD50

 

 

살포장비에 의한 약해 중 가장 우려되는 원인은?

1. 살포장비의 세척

2. 살포장비의 종류

3. 살포장비의 구조

4. 살포장비의 조작방법

 

 

입제가 갖추어야 할 성질이 아닌 것은?

1. 수용성이 커야 한다.

2. 토양에 흡착성이 있어야 한다.

3. 훈증적인 작용을 갖추어야 한다.

4. 토양 미생물에 대하여 안정해야 한다.

 

 

농약의 약효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농약의 효과는 살포약제의 부착량 및 부착질에 의해 결정된다.

2. 약효는 살포량이 어느 한계 이하에서는 살포량과 부착량에 비례한다.

3. 살포량이 증가함에 따라 약효 상승률이 점차 떨어진다.

4. 실제 포장에서 병해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해서는 약효상승율이 “0”인 때의 살포량보다 감량하여 살포하는 것이 안전하다.

>감량이 아니라 증량하여 살포한다

 

 

 

잡초방제학

 

잡초 경합 한계기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작물의 경합력이 가장 높은시기

2. 작물의 경합력이 크게 필요치 않은 시기

3. 작물이 잡초와의 경합에 가장 민감한 시기

4. 작물이 잡초로부터 피해를 가장 적게 받는 시기

>잡초경합 한계기간은 잡초와의 경합에 의해 작물의 생육 및 수량이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 기간으로, 작물이 초관을 형성한 이후부터 생식생장으로 전환하기 이전의 시기이다.

 

 

다음 중 잡초 종자의 휴면을 유도하는 식물생장조절제는?

1. GA

2. BA

3. ABA

4. IAA

 

 

다음 중 논에 주로 발생하는 잡초가 아닌 것은?

1. 벗풀, 매자기

2. 개구리밥, 가래

3. 바랭이, 닭의장풀

4. 나도겨풀, 올방개

>밭잡초 – 비름, 바랭이, 깨풀

과수원,비경지잡초 – 망초, 닭의장풀, 참소리쟁이

 

 

농경지에서 발생하는 잡초의 발생초종 구성이 변화하는 천이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1. 시비법

2. 작부체계

3. 물 관리법

4. 제초제 사용

 

 

작물 생육기간이 100일이면 일반적인 잡초경합 한계기간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파종 및 이식 후부터 10 - 20일 내

2. 파종 및 이식 후부터 20 - 30일 내

3. 파종 및 이식 후부터 50 - 60일 내

4. 파종 및 이식 후부터 60 - 70일 내

>잡초경합한계기간은 첫 생육기간의 1/4~1/3기간으로 100일이면 20~30일 내

 

 

우리나라 논에 발생하는 올방개의 출아가 늦은 이유로 옳은 것은?

1. 지하경의 크기가 크기 때문이다.

2. 지하경의 종자가 휴면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3. 지하경이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4. 지하경 형성 부위가 깊고 출아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기 때문이다.

 

 

논에 제초제를 사용할 경우 발생하는 약해의 요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운 시기

2. 기상 조건

3. 이앙 심도

4. 물 관리 조건

>제초제의 약해 유발 원인 : 기상조건, 토성, 재배양식, 물관리 조건, 이앙심도, 벼의 무기성분함량, 제초제 처리시기, 살충살균제의 상호작용 등

 

 

다음 중 여러해살이 잡초로만 나열된 것은?

1. 나도겨풀, 반하

2. , 참방동사니

3. 바랭이, 알방동사니

4. 생이가래, 큰고추풀

>피,바래이,고추풀 : 1년생 잡초 / 생이가래 : 부유식물 / 나도겨풀, 반하 : 다년생

 

 

다음 중 가을에 발생하여 월동 후에 결실하는 잡초로만 나열된 것은?

1. , 명아주, 비름

2. 별꽃, 뚝새풀, 벼룩나물

3. 깨풀, 강아지풀, 민들레

4. 애기메꽃, 바랭이, 별꽃

 

 

잡초가 발생하기 전에 시행하는 예방적 방제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논물 유입로에는 거름망을 설치한다.

2. 외래잡초의 유입을 막는 제도를 마련한다.

3. 가축 퇴비를 농경지에 시용하기 전에 충분히 부숙시킨다.

4. 잡초 번식 기관인 종자와 영양체 중에서 종자의 유입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다.

>잡초 번식 기관인 종자와 영양체 중에서 종자와 영양체 ‘모두’의 유입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다.

 

 

생물학적 잡초방제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식물병원균은?

1. 균류

2. 선충

3. 세균

4. 바이러스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제형은?

-물과 유기용매에 난용성인 원제를 조제한 것으로 분말형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제형이다

-증량제로 물을 사용하여 독성, 환경오염 측면에서 유리하고, 가수분해에 대하여 안정한 유효성분만이 제제대상이 된다

1. 수용제

2. 수화제

3. 입상수화제

4. 액상수화제

 

 

식물의 여러 기관에서 특정 물질이 분비되어 주변 식물의 발아나 생육에 영향을 주는 현상은?

1. 상호 대립 억제작용

2. 상호 대립 길항작용

3. 상호 대립 분비작용

4. 식물 생장 조절작용

>상호대립억제작용. allelopathy. 식물의 여러 기관에서 작물의 발아나 생육을 억제하는 물질을 분비, 또는 유출함으로서 피해를 일으키는 작용

 

댓글